4. 창조성의 근원

창조성의 근원 그렇다면 앞에서 ‘근원 에너지’라고 명명한 이 에너지는 뭘까? 대체 이 에너지가 무엇이기에 그토록 오래 숨죽여 있어도 사라지지 않고 살아남아 결국 터져 나왔을까? 이 에너지가 무엇이기에 그토록 많은 창조적 활동을 하도록 이끌었을까? 이 에너지가 무엇이기에 그토록 커다란 흐름을 만들어 냈을까? 다음의 서술 역시 앞서 언급한 '폭발'의 경험에 따라 직관적으로 판단한 내용이다. 필자가 보기에 이 근원 에너지는 우리 존재의 가장 근원적 차원에 자리한 가장 순전하면서도 무한한 천연의 자원이다. 끝도 없이 흘러나오는 창조성의 원천이다. 어쩌면 창조성 자체가 이 에너지일지도 모른다. 이는 또한 우리 개별 개체를 넘어서는 곳에서 출발하는 그 무엇이다. ‘궁극의 사랑’(데이비드 홉킨스 박사)으로 일컬어지는 에너지 혹은 '합일 의식'(켄 윌버) 속에서 발현되는 마음이다. 혹은 그런 차원에 속하는 그 무엇이다. 그래서 끝이 없다. (본인의 현재 존재 상태는 이러한 궁극의 상태와는 거리가 한참 있다. 그래서 이는 확정적인 경험에서 나온 확신이라기보다는 다양한 측면을 통해 현시점에서 내린 결론이다. 또한, 이러한 차원에 속하는 에너지의 한끝을 '폭발'의 경험 덕에 잠시나마 경험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의 근원에서 출발한 이 에너지는 우리 각각을 통과하면서 개별적 특성을 띠게 된다. 즉, 각 개체가 이 에너지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수용하고 통하도록 허용하면서부터 그 본질은 개별화된다. 본디 형체도 색깔도 그 무엇도 없던, 에너지 그 자체로만 존재하던 것이 우리 각각의 의식을 통과하며 구체화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기에 이때부터 이 에너지는 에너지를 통과시킨 그 개체와 연결된 개성을 띠기 시작한다. 고유한 에너지의 특성을 이루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 지점에서도 여전히 이것은 에너지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개별적 특성을 지닌 에너지일 뿐이다. 이것이 본격적으로 발현되기 시작하는 지점은 즉, 한 발

3. 폭발성에 대한 추적

폭발성에 대한 추적 이 일련의 경험은 내게 수많은 의문을 남겼다. 그중에서도 나를 가장 사로잡았던 것은 바로 이 독특한 에너지의 정체였다. 특히, 이 에너지가 왜 이렇게 폭발적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었는지 이해하고 싶었다. 왜였을까? 대체 무엇이, 어떤 연원이 이 에너지가 이토록 폭발성을 띠도록 만들었을까?  폭발성에 대한 추적 지금부터는 내가 이 문제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느낀 바를 서술하고자 한다. 아직 과학적/학문적 논증 과정을 거치지 않았고, 관련 자료도 미비하지만, 이 지점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음을 다시 한번 밝힌다.  일단, 내 이해해 따르면 이 에너지가(앞으로는 ‘근원 에너지’라고 부르자) 이렇게 폭발했던 것은 단순 명료하게 말해 그동안 자연스럽게 흐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자연스럽게 사용되었다면(여기서 ‘그동안’은 전생과 같은 보다 폭넓은 시간을 포함하겠다) 분출이란 것은 애초에 일어나지 않았다. 그때그때 흐르며 우리가 표현하도록, 만들어 내도록, 움직이도록 우리를 성장시키고, 완성하며, 드러내게 했을 것이다. 그것이 내가 이해한 이 에너지의 본질이다. 그런데 이러한 에너지가 어떤 연유로 억압되었고, 차단되었고, 감추어졌다(이렇게 근원 에너지의 자연스러운 순환을 가로막는 반대 성질의 에너지를 ‘장막 에너지’라 부르기로 하자). 그리고 흐르지 못한 에너지는 계속 고이고 축적되었다. 게다가 두 에너지 사이의 압력은 세월이 갈수록 커졌다. 이는 속성 자체가 흐르고 펼쳐져야 하는 근원 에너지와 이를 지속해서 막는 장막 에너지 간에 발생하는 필연적 결과였다. 그런데 그때 어떤 연유로 그러한 장막 에너지에 금이 가고, 손상이 가게 된다(‘어떤 연유’의 대표적인 예로는 정화 작업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거기에 계속된 충격이 더해진다. 그러자 마침내 그리도 견고하던 장막 에너지 전체 혹은 한 층이 한꺼번에 무너져 버리고 만다. 이때, 이 무너진 장막 에너지뿐만 아니라 그 안에 갇혀 있던 근원 에너지까지 한꺼번에, 그간 가해지던 압력의 반대 방향으로

2. 우리가 그간 놓치고 있던 양질의 예술적 창조성

우리가 그간 놓치고 있던 양질의 예술적 창조성 이 연구 에세이의 본격적인 내용은 이 연구를 시작할 결정적 계기를 마련해 준 어떤 개인적 경험에서 출발하는 게 맞을 것 같다. 다음은 그 경험에 대한 이야기이다. 

1. 왜, 그리고 무엇에 관하여

왜, 그리고 무엇에 관하여   왜 연구 에세이를 쓰기 시작했는가?  이에 대해 설명하려면 내 개인적 경험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 같다. 참 이상하게도 나는 내 예술적 욕구를 표현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거의 반드시 무의식 정화 과정을 먼저 거치지 않으면 안 되는 순서로 삶이 펼쳐졌다. 늘 내 안의 무언가에 의해 내 표현력은 억압 및 억제, 회피되거나 차단되었다. 그리고 그것을 자연스럽게 발현하려면 그와 얽히고설킨 감정의 골 혹은 기억의 골, 때로는 그 너머의 무언가를 풀어내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근 3년간 집중적으로 겪은 내적 성숙 과정뿐만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자아실현 전체 여정이 그러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다양한 지혜를 동원해야만 이해가 진척되었다. 그래서 전통적 심리학적 접근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적 지혜와 스승들의 직간접적인 가르침을 자연스레 추구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애초에 예술의 길에 들어서는 시기도 늦은 편이었으며, 그 과정도 꽤 더디었다. 늘 다음 단계, 또 그다음 단계의 영혼의 성숙을 위한 과제가 나타났다. 아마 이것도 그 단계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제대로 정리해 보아야 할 것 같은 주제가 지속해서 머릿속에서 돌고 돌며 떠올랐다. 내가 어디까지 풀어낼 수 있을지, 그리고 풀어내야 할지 확신이 없는데도 그랬다. 그 주제란 바로 무의식의 정화 및 존재 상태의 개선과 창조성 발현의 연관성에 대한 것이었다. 내가 보기에 창조성은 개인의 존재 상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 무엇보다 개인의 무의식적 존재 상태가 개선되면 자연스레 뒤따라오는 선물과 같은 것이었다. 막고 있는 것을 놓아주면 풀리는 물줄기였다. 하지만 대중적 논의는 의식의 표면적 차원에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에 대한 전문적 논의 및 정보를 찾는 것도 쉽지 않았다. 물론, 영적 스승 및 가르침에서 이에 대한 언급을 찾을 수 있기는 했다. 그 가르침은 늘 우리가 본래의 모습으로 향하는 길을 가리켜 주었고, 그 길은 우리의